학생기자단
경관학회 학생기자단 소식지 NO.65(22-23) : 한국경관학회, ‘제7회 경관아카데미’ 성료
관리자 2022.11.22 235
image01.png (60.26 KB)
image02.png (46.93 KB)

한국경관학회, 제7회 경관아카데미 성료



경관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행력 있는 경관행정 운영방안' 주제로 진행





() 한국경관학회 학생기자단 11



계명대학교 김효주







image01.png image02.png



경관아카데미 종합토론 진행모습 / 사진출처 본인 경관아카데미 강의 모습 / 사진출처 본인





건축공간연구원(AURI)이 주관하고 ()한국경관학회가 주최하는 7회 경관아카데미가 지난 929일 목요일 서울역 삼경교육센터 라움에서 개최되었다.





경관아카데미는 경관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경관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업무에 필요한 전문지식 습득을 통해 지역의 경관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다.





그동안 운영하였던 경관아카데미의 경험을 토대로 이번 제7회 경관아카데미는 실행력 있는 경관행정 운영방안을 강의와 워크숍 형태로 진행하였다. 주요 내용은 경관제도의 변화, 경관자원조사, 중점경관관리구역, 지자체 경관행정, 경관계획 관리운영으로 구성됐다.





이번 아카데미는 정해준 경관학회 총무이사(계명대학교 교수)의 사회와 국토교통부, 건축공간연구원, 한국경관학회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오전 강의는 심경미 박사(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 경관센터장)경관법 및 경관제도의 변화주신하 경관학회 회장(서울여자대학교 교수)경관자원조사 우수사례배웅규 경관학회 수석부회장(중앙대학교 교수)중점경관관리구역 설정 및 관리운영 사례순으로 진행됐다.





오후 지자체 우수사례 발표는 이은정 소장(율 소장)실효성 확보를 위한 경관자원 기반 경관계획 및 중점경관관리구역 계획박상범 경관학회 이사(오씨에스도시건축사사무소 대표)비의무 수립 지역의 경관계획 및 중점경관관리구역계획정두용 경관학회 부회장(인천광역시 도시경관 팀장)경관심의 시스템순으로 진행됐다.







강의에서 주신하 회장은 경관자원조사 우수사례로 충청남도 당진시 경관자원조사 사례를 공유했다.





주 회장은 경관자원조사의 필요성과 장점과 어려움이 무엇인지, 당진시 경관자원조사의 진행과정과 결과물의 활용방안, 체계적인 경관자원 관리를 위한 조사기준 마련 연구에 대해 소개하였다.





지자체 우수사례 발표에서 이은정 소장은 수원시의 경관계획 사례를 발표하였다.





이 소장은 경관자원 조사결과를 반영한 계획 주안점 설정과 경관자원기반 경관계획 수립 및 실행수단 마련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지역의 특성을 살린 경관계획은 틀 안에서 계획되는 것이 아닌, 경관자원 기반 지역실정을 고려한 계획으로 단계적 실효성을 갖추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후 조별 워크숍은 조별 강사와 지자체 공무원들이 팀별로 나누어져 경관행정 현장, 지자체 현황, 제도개선 요구 등에 대해 토의하였다. 전문가와 행정 담당자 간의 현장 중심 의견교환의 시간을 가졌다.







종합토론 및 폐회에 김경인 소장은 앞으로 102030년 후에 경관과 관련된 교육이 필요없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게 하려면 지금 좋은 경관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공무원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한데, 지금까지 경관아카데미 중 이번이 가장 참여도가 높다. 앞으로 경관이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마무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