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기자단
경관학회 학생기자단 소식지 NO.86(23-13) : 새로운 청춘으로 기억될 천호지 공원
관리자 2023.06.15 849
image01.png (60.35 KB)
image02.png (57.9 KB)
image03.png (67.81 KB)
image04.png (61.27 KB)
image05.png (66.74 KB)
image06.png (78.35 KB)
image07.png (72.71 KB)
image08.png (72.73 KB)
image09.png (62.69 KB)
image10.png (71.88 KB)

새로운 청춘으로 기억될 천호지 공원



- 시민 의견 반영한 수변경관 개선 사업 성황리에 마무리되다.





() 한국경관학회 학생기자단 12



상명대학교 김승연









지난 202345일 천호지 공원에서 수변경관 개선사업 준공식이 개최됨과 동시에 시민에게도 전면 개방했다.







천호지 수변경관 조성 배경





천호지 공원은 2008년 체육시설 위주의 공원으로 조성되어 가변성 없는 체육 시설과 시설물의 노후화 등의 문제점으로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지 못했다. 수변공원이 가진 자연환경을 이용한 경관적 요소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천안시는 시민 의견 수렴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천호지 주변 대학가 학생들의 이용형태, 고유의 생태경관성, 대학인 거리 사업과의 연계 등을 고려한 시설과 공간을 배치하여 기존 천호지의 자연여건을 활용한 수변경관 개선에 나섰다.







새로운 모습으로 시민의 품에 돌아온 천호지 공원



천호지 공원은 이용객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여 공모 당선작 금빛호수, 청춘에 스미다를 콘셉트로 문화·예술, 휴식, 휴양, 건강, 생태 등 5개 주제로 나누어 조성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문화·예술 공간인 청춘광장으로 이용객들의 문화·예술, 이벤트 등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졌으며, 천호지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청춘다리(브릿지)와 수막명상(워터스크린)분수를 조성해 공간의 역동성을 가미했다.



image01.png image02.png



<청춘다리: 출처 본인> <수막명상분수: 출처 천안시>







두 번째 주제인 어울마당1,100의 수변 데크 공간을 새롭게 조성하여 이용객들이 수변을 배경으로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하고 다양한 공연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기존에 천호지를 중심으로 조성되었던 약 2.3km에 달하는 둘레길 중간중간 새로운 쉼터를 조성해 잠시 앉아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image03.png image04.png



<어울마당 항공사진: 출처 천안시> <둘레길 쉼터: 출처 본인>







세 번째 주제인 하늘마당은 휴양을 위한 공간으로 기존에 생육하던 메타세쿼이아 군락과 잔디마당 주변에 나들이를 즐길 수 있는 테이블을 비치하여 지친 몸과 마음의 회복을 위한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image05.png image06.png



<하늘마당 진입로: 출처 본인> <하늘마당 나들이 테이블: 출처 본인>







네 번째 주제인 건강마당은 본래 청춘광장에 있던 배드민턴장을 옮겨 새롭게 조성하였고, 호수를 바라보며 쉴 수 있는 탁자 및 벤치, 수변 산책로를 만들어 운동과 휴식을 모두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image07.png image08.png



<배드민턴장: 출처 본인> <건강마당 쉼터: 출처 본인>







마지막 다섯 번째 주제인 초록마당은 멸종위기 1급에 해당하는 수달의 주요 출현지로, 수달과 물새, 연꽃 등을 관찰하며 조용히 쉴 수 있도록 기존에 있던 파고라는 그대로 두고 벤치를 추가로 비치하였다.



image09.png image10.png



<초록마당 항공사진: 출처 천안시> <수달보호지역 안내판: 출처 본인>







이밖에도 천안시는 천호지 공원 내 경관조명과 공간별 특성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인 대학인 거리, 신야간경제(밤에도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여 문화공간을 무료로 개방하고 이벤트 개최를 통해 시민과 관광객의 경제활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전략) 사업과의 연계를 추진하고, 산림청 목재 친화도시 공모사업도 진행하여 탄소 저장 및 흡수의 거점으로 조성해 나갈 방침이다.



































×